전체 글 1751

진흙강 [泥の河 / Muddy River] (1981)

오구리 코헤이는 기본적으로 과작의 영화작가다. [진흙강]과 [가야코를 위하여] 이후 그는 6년-9년 텀을 두고 조심스럽게 영화를 내놓고 있다. 그가 등장했던 1980년대 일본 영화계는 산업 기반의 붕괴로 악전고투하고 있었다. 와중에 이타미 주조는 경박하기까지 한 템포의 풍자 코미디 영화로 흥행을 이끌고 있었고, 신인 감독들은 로망 포르노를 통해 색정적인 얘기 속에 자신이 하고 싶은 연출론을 조심스럽게 숨겨넣고 있었다. 하지만 오구리 코헤이는 [진흙강]을 통해 그런 흐름과 상관없다듯이, 마치 네오 리얼리즘이나 고전기 일본 영화들을 연상케하는 1.33:1 흑백 화면의 전후 일본 배경 성장물을 들고 나타났다. 당연히 저예산에 흑백 화면으로 제작된 [진흙강]은 가히 페드로 코스타의 [피]만큼이나 불시착한 영화였..

서부극에서 총이 발사되기까지

최근 유행하고 있는 블리자드제 FPS 게임 [오버워치]에 등장하는 맥크리라는 캐릭터가 있다. 대놓고 서부극 무법자를 가져온 이 캐릭터가 가지고 있는 궁극기는 '황야의 무법자Deadeye'다. 무방비가 되는 리스크를 감수하고 화면에 있는 대상을 오랫동안 조준하고 있으면 한 방으로 처치하는 이 궁극기와 "석양이 진다.... It's High Noon."이라는 대사는 곧 인터넷 상에서 유행어가 되었다. 이 대사는 왜 유행어가 되었는가? 그것은 [오버워치]라는 게임이 빠른 스피드의 하이 테크놀로지를 배경으로 한 하이퍼 FPS의 흐름과 반대로 대상을 처치하기 위해 다소간의 뜸을 들어야 하는, 느긋한 호흡 때문이였다.'황야의 무법자'가 보여주는 이 느긋한 호흡이야말로, 서부극의 리듬을 이해할수 있는 중요한 단서 아..

20160625

-밀린 리뷰만 처리하는데도 한 달이나 걸리다니... 그래도 최신 리뷰도 틈틈히 쓰고 있긴 합니다.-복학하더라도 수업은 하나만 들을것 같으니 취직할때까진 지금과 같은 성긴 패턴은 여전할듯. 저도 하루종일 집에 갇혀있는건 싫어서 오후 시간을 아예 통째로 어디 가서 영화를 보는데 투자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아니더라도 나중에 도움이 되겠죠.-2016년은 유달리 끔찍하네요. 아뇨. 제 자신은 큰 문제는 없습니다. 하지만 하도 안 좋은 소식만 들려오니 절로 피곤해진다고 할까요. 좋은것들만 계속 사라지는 것 같아서 우울합니다.-여러분 아십니까? 올해로 제 블로그가 10주년입니다. 물론 이 블로그도 제 첫 블로그가 아니고 여기저기 옮겨다니다가 정착한거니 실제로는 더 오래되었지만 말입니다. 10년전에 이 블로그를 시작하..

행진하는 청춘 [Juventude em Marcha / Colossal Youth] (2006)

2014/05/17 - [Deeper Into Movie/리뷰] - 뼈 [Ossos / Bone] (1997)2016/05/29 - [Deeper Into Movie/리뷰] - 피 [O Sangue / The Blood] (1989)[행진하는 청춘]의 시작은 이상할 정도로 [피]를 닮아있다. 주인공의 가족이 주인공을 버려두고 어둠속으로 사라진다. 하지만 닮은건 구도 뿐이다. 어둠 속 지평선을 향해 사라졌던 [피]의 아버지와 달리 [행진하는 청춘]은 어두운 밖으로 내던져지는 가구들을 멀찍히 보여주면서 시작한다. 또한 사라지는 사람은 아버지가 아니라 벤투라의 아내 클로틸드다. 그리고 클로틸드는 자신의 과거에 대한 긴 독백을 남긴 채 계단참에서 뒷걸음치면서 사라진다. 이를 보면 알 수 있지만 [피]가 버림받은..

Massive Attack - Voodoo in My Blood

그렇게 [Heligoland]를 깠음에도 새 트랙에 허덕이는 전 어쩔수 없는 매시브 어택 빠인걸로 판명. 그래도 [Heligoland]나 [100th Window]를 들었을때 애매했던 부분들이 좀 가신 트랙이여서 듣긴 좋습니다. 별로 기대 안 했는데 의외였다...는 느낌? 3D가 보컬을 불렀던 'Take it There'도 괜찮았고요.뮤직 비디오의 로자먼드 파이크의 모던 고딕스러운 귀기 들린 모습도 매시브 어택의 세계랑 잘 어울려서 보기 좋고, 이자벨 아자니와 안제이 줄랍스키의 [퍼제션] 오마쥬도 나름 재미있습니다.

무뢰한 [The Shameless] (2015)

오승욱 감독의 [무뢰한]은 익숙한 구조에서 출발한다. 형사가 범죄자를 잡기 위해 쫓다가 범죄자의 애인과 사랑에 빠진다. 형사, 범죄자, 범죄자 애인의 이름이 무엇인지, 어떤 식으로 그들이 만나고 사랑에 빠지는지 같은 [무뢰한]를 이루고 있는 익숙한 구조에 대해 구구절절히 늘어놓는건 시간 낭비일지도 모른다. 중요한 것은 디테일을 어떻게 부여하고 그 디테일을 어떻게 ‘영화적’으로 드러나는가이다. 이 디테일을 어떻게 부여하느냐에 따라 [무뢰한]은 아드레날린이 넘치는 액션 영화가 될수도 있고, 아니면 매우 무거운 분위기의 멜로물이 될 수도 있다. 그 점에서 오승욱 감독은 [무뢰한]을 통해 아주 독특한 방식으로 자신의 색채를 드러내고 있다.[무뢰한]이 장르를 통해 설정한 인물들의 동기는 이렇다: 주인공인 정재곤에..

가을이 오다 [秋立ちぬ / The Approach of Autumn] (1960)

[가을이 오다]는 나루세 미키오 필모그래피를 봐도 매우 희귀한 축에 속하는 영화다. 성인 남녀간의 애정이라던가 여성, 특히 게이샤를 주인공으로 삼았던 그간 나루세 미키오의 작풍과 달리 어린 아이, 그것도 소년을 주인공으로 내세우고 있는 영화기 때문이다. 구로사와 아키라의 [나쁜 놈일수록 더 잘 잔다]랑 동시상영했다는 점, 이후 나루세가 잘 다루던 게이샤나 성인 여성을 주인공으로 한 영화들이 다시 이어진걸 보면, 나루세 자신도 이 세계가 자신이 계속 머물 세계는 아니라는건 인지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 점 때문에 [가을이 오다]는 나루세 커리어에서도 상당히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가을이 오다]의 각본은 카사하라 료조가 쓴 [도회지의 아이]를 원작으로 나루세 자신이 개작해 만들어졌다. 이야기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