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eper Into Movie/리뷰

도쿄 이야기 [東京物語 / Tokyo Story] (1953)

giantroot2012. 10. 19. 22:11



일본의 영화 감독 오즈 야스지로는 보통 일본적인 영화를 만드는 거장으로 소개되곤 한다. 물론 평범한 일본인들의 삶과 감수성에 대한 관찰을 '다다미 샷'라는 지극히 일본 전통 건물 양식에 맞춘 샷으로 서구 영화의 호흡과 다른 정적인 호흡으로 찍는다는 점에서 오즈의 '일본적 색채'는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메세지도 일본 전통에만 천착해 있냐, 그건 아니라고 생각한다. 오즈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도쿄 이야기] (동경 이야기로도 통하기도 한다.)를 보고 느낀 생각이다.


영화 내용은 사실 별거 없다. 히로시마 오노미치에 사는 늙은 노부부가 자식들을 만나러 도쿄로 올라온다. 하지만 자식들은 자기 일 때문에 노부부의 방문이 그렇게 반갑지는 않다. 오로지 사심 없이 맞아주는 사람은 남편을 잃은 며느리 노리코 뿐이다. 노부부는 도쿄와 아타미, 오사카를 떠돌아다니면서 지내다가 오노미치로 돌아간다. 그 와중에 편찮은 기색을 띄던 아내 토미가 집에 도착한 뒤 세상을 뜨고 자식들은 장례를 치루고 다시 떠난다. 이제 남은건 얼마 안 있으면 떠날 막내딸 쿄코와 남편 슈키치이다. 이게 이야기의 전부다.


이렇게보면 참 자식들이 싸가지 없는 악당 캐릭터로 보이기 쉽지만 정작 영화를 보면 그렇지도 않은게 오즈와 각본가 노다는 자식들을 1차원화하지 않는다. 우선 중심이 되는 노부부도 자식들의 행태에 대해 '허허 너희들도 참 바쁘니깐'라며 허허실실 넘어가고 있으며, 결정적으로 자식들은 속물적이긴 하지만 부모님을 사랑하는 마음까진 거짓은 아니다. 이 점 때문에 영화는 단순히 과거가 좋았지 식의 푸념으로 넘어가지 않는다. 그런 "현재"의 젊은 일본에 대한 비판 비스무리한 대사가 중간중간에 나오긴 하지만 모조리 주인공들에게 부드럽게 부정된다.


그렇다면 오즈가 [도쿄 이야기]로 말하고 싶은건 무엇인가? 바로 변화를 받아들이는 자세다. 그것도 단순히 변화를 받아들이는 것 이상으로 동양적인 선 사상에 기반에 두고 있는 심오한 근대적 휴머니즘이라고 할까. 세상 모든 이치는 물흐르듯이 부드럽게 변화하는 것이며 자식들의 가치관과 발전 역시 그런 변화의 일부라면 억지로 거부할 필요는 없지 않은가. 나는 그 흐름 속에서도 행복하다. 노부부가 얼마 남지 않은 삶의 대한 태도는 의외로 유연하다. 그리고 이런 유연한 태도가 비슷한 상실의 아픔을 겪은 노리코에게도 찾아볼수 있다는 점도 재미있는데, 아마 오즈는 이를 통해 '상실이 인간을 성숙하게 한다'라고 말하고 싶었던 것 아닐까.


이런 휴머니즘은 곧 노부부가 타인을 대하는 태도로도 나오는데 토미가 노리코에게 재가를 이야기하는 장면이나 마지막 노리코와 슈키치의 대화가 그렇다. 인간적인 감정 때문에 혼돈스러운 노리코에게 죽은 사람은 죽은 사람이고 아직 살 날이 남은 너는 네 인생을 찾아가라고 말하는 노부부의 대사엔 개가에 부정적이고 남편에게 종속되길 강요하던 동양 문화 특유의 악습 같은건 느껴지지 않는다. 외려 서구적인 휴머니즘과 선 사상이 아름답게 공존하고 있다. 오즈가 세계 영화계에서 환대를 받았던 이유도 아마 그런 휴머니티 가득한 시선 때문이리라.


영화는 덧없는 아련함으로 가득한데, 아마 이 영화가 떠나감과 죽음을 중심 소재로 삼고 있어서 그런것이리라. 영화는 한없이 조용하고 신중한 템포로 노부부가 자식들을 방문하고 토미가 세상을 떠나고 슈키치가 아내 없는 세상에 적응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그리고 영화는 죽음과 장례라는 '비일상'에서 '일상'으로 돌아온 슈키치의 "아내 없는 하루가 이렇게 길 줄 몰랐네"라는 대사로 끝을 마친다. 이 얼마나 아름답고 단아한 결말인가. [겐지 이야기]부터 호소다 마모루의 [늑대아이]까지 일본 작품들에서 맛볼 수 있는 특유의 아련한 정서인 모노노아와레가 이토록 완연하게 체화해 있다니. 변화를 받아들이며 살아가는 평범한 사람의 득도와 하지만 어쩔수 없이 파생되는 아련함을 받아들이는 영화의 담담함은 정말이지 굉장하다.


오즈가 영화 찍는 방식도 상당히 담담하다. 유명한 다다미 쇼트(카메라의 눈높이를 입식이 아닌 좌식 문화에 맞게 낮춰버린 컷)나 긴 호흡의 컷 배분, 손짓 하나하나 일일히 신경썼던 특유의 연기 지도 등 오즈는 극도로 엄격한 형식주의를 통해 프레임과 미장센을 하나의 '정물화'로 만들어버린다. 이런 연출를 위해 오즈와 각본가 노다는 보통 극영화였다면 산만하다고 잘라버릴 사소한 장면들도 버리지 않는다. 그래서 영화의 사건은 아주 완만한 호흡으로 진행되지만 관객들은 오즈가 만들어낸 그 유장한 미학 속에 푹 빠져버려 평온하게 모든것을 관조하게 된다.


보통 오즈의 대표작을 이야기하노라면 [도쿄 이야기]와 [만춘]이 자주 언급되곤 한다. [만춘]이 이보다 먼저 제작된 것과 두 편 이후 오즈가 컬러 영화로 넘어간걸 생각해보면 [도쿄 이야기]는 오즈 스타일의 만개와 총정리가 담긴 영화라도 볼 수 있을것이다. 무척이나 덧없지만 따스하고 아름다운 영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