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음의 세계에 빠지게 되면서 좋아하게 된 일본 뮤지션이 몇몇 있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좋아하는 뮤지션이 누구냐고 물어보면... 서니 데이 서비스와 밴드 리더 소카베 케이이치라고 대답할 것 같습니다. 물론 호소노 하루오미도 있지만 둘 중에 누굴 선택할래 하면 5초 고민한 뒤 소카베 케이이치를 선택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정말 오래간만에 파고 싶어진 뮤지션에 대한 탐사기록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서니 데이 서비스를 처음 만난건 제가 심적으로 굉장히 힘들때였습니다. 지금에서야 말하자면 제 잘못도 있었지만, 그땐 너무 거기에 안 맞아서 사람들에게도 모를 세웠고 일부러 단체 생활에도 빠지고 그랬습니다. (그때 그 사람들에겐 정말로 죄송하다는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그러다 일음에 빠지게 되었고, 서니 데이 서비스를 추천하는 글을 읽고 베스트 앨범을 받아서 (그땐 해외 결제 카드가 없어서...) 들었습니다.
충격이였습니다. 막 들으면서 울거나 그러진 않았지만, 상처받은 제 마음을 쓰다듬는 무심하지만 배려심 많은 멜로디와 가사에 푹 빠져버렸습니다. 아무튼 그 베스트에 실린 'Baby Blue'는 정말 힘들때 큰 힘이 되준 트랙입니다. 동시에 일음 세계에 제대로 빠지게 됬습니다.
이후 간간히 꺼내듣다가, 해외 카드가 생기면서 '일본 음반을 지르고 싶다!'라는 생각이 들었고, 그 때 처음으로 '사고 싶다!'라고 생각했던게 서니 데이 서비스와 소카베 케이이치 솔로 앨범들이였습니다. 일본 여행도 그걸 목표로 삼았고요. 뭐 거기선 소카베 케이이치 밴드만 구했으니 반절의 성공이였지만... 결국 못 참고 북오프를 두군데나 털어서 기어이 서니 데이 서비스 앨범을 구하고 말았습니다. 더 나아가 아마존 재팬도 털어서 사랑과 웃음의 밤과 세임 타이틀도 주문했습니다. 앞으로 장기적인 제 일음 목표는 '소카베 케이이치 음반 다 구하기'입니다.
サニーデイ・サービス - [東京] (1996, MIDI)
물론 이게 첫 앨범은 아닙니다. 첫 앨범은 [若者たち]인데, 플리퍼스 추종자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플리퍼스 기타에 매진하던 모습을 보였다고 합니다. 그래도 베스트에 실려있던 '若者たち' 같은 곡은 이후 서니 데이 서비스의 씨앗이 느껴집니다.
이 앨범은 두번째 앨범인데, 플리퍼스 기타의 흔적은 거의 사라져버렸고 (신시사이저 쓰는 걸 보면 느껴지긴 합니다만...) 대신 포크 록이라 해도 될 만큼 포크 중심의 음악을 들려주고 있습니다. '青春狂走曲' 같은 곡은 밥 딜런의 'Like a Rolling Stone'하고 많이 비슷합니다. 물론 핫피 엔도나 엘리펀트 카시마시 같은 일본 밴드의 영향력도 느껴지고요. 전반적인 느낌은 和풍 포크 록에 가깝습니다.
음 그런데 솔직히 음악적으로 완성된 앨범은 아닙니다. 풋풋하면서 살짝 어색한 느낌이 앨범 전체를 감싸고 있거든요. 이후 서니 데이 서비스와 소카베 케이이치가 간 길을 생각하면 이 앨범은 꽤 과도기라는 인상이 강합니다. 게다가 앨범 내내 풍기는 和풍 향기가 그런 느낌을 더욱 가속화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도 '恋におちたら', '恋色の街角' 같은 곡에선 지금과 같은 일상에서 사랑과 웃음을 이야기하는 서니 데이 서비스의 스타일이 완성된 걸 확인할 수 있는데다, 그 풋풋한 포크 록도 나름대로 맛이 있어서 쉽게 내치지 못하겠습니다.
サニーデイ・サービス - [MUGEN] (1999, MIDI)
이 사이에 앨범이 세 개나 있어서 어떤 식으로 변했는지 뭐라 단정하기 힘듭니다만, 아무튼 이 앨범은 서니 데이 서비스 음악 세계의 완성본에 가깝다해도 과언이 아닐겁니다. [東京] 시절의 풋풋함은 벗어던지고 자신만의 색을 찾았다는 느낌입니다. 작곡이라는 측면에서도, 소리를 매만지는 측면에서도 지긋한 연륜을 가지게 되었다고 할까요?
60-70년대 클래시컬한 로큰롤부터 포크 록, 어쿠스틱 기타 팝, 핫피 엔도 식 일본식 로크부터 80년대 매드체스터의 헐렁한 그루브까지 많은 요소가 담겨있지만 꽤나 순도 높게 그걸 녹여놓고 있습니다.
제가 가장 좋아하는 트랙은 '江ノ島'입니다. 무척이나 그루비하면서도 서정미가 한껏 고양되게 만드는 트랙입니다.
曽我部恵一BAND - [キラキラ!] (2007, ROSE RECORDS)
2000년 서니 데이 서비스가 해체 된 뒤, 유부남이 된 소카베 케이이치는 본격적으로 솔로 활동을 시작합니다. 자신의 명의로 낸 앨범도 괜찮은 평을 듣던 와중에 그는 밴드를 하나 꾸립니다. 그게 소카베 케이이치 밴드입니다.
우선 이 앨범은 서니 데이 서비스하고 좀 많이 다릅니다. 이 앨범은 굉장히 로킹한 앨범입니다. 물론 서니 데이 서비스 시절에도 간간히 로크로서 면모를 드러내기도 했지만, 이 앨범은 리미터 해제하고 마구 달립니다. 우선 기타가 두 대로 늘어 있는 힘껏 후려치고, 소카베 케이이치의 창법도 보드라움 대신 걸걸한 샤우팅으로 바뀌었습니다.
그렇지만 로킹한 부분만큼이나 낭만적인 감수성도 중시된다는 점에서 이 앨범은 블루 하츠 같은 일본 파워 팝의 계보를 잇고 있습니다. 또한 서니 데이 서비스의 영향력도 느껴지는데, '青春狂走曲' 커버에서 소카베는 그 것을 공인하고 있습니다. 위에서 적었던 도쿄 앨범에 실렸던 그 곡을 다시 커버했는데, 원곡과는 다른 후련함을 안겨주고 있습니다.
서니 데이 서비스만을 생각하면, 이 앨범은 당황스러울 것입니다. 그는 여기서 조용히 속삭이는 서정 대신 로크를 선택했거든요. 하지만 서니 데이 서비스의 감수성을 좋아하면서도 힘이 넘치는 질주감도 사랑하신다면 좋아하실겁니다. 그 해에 발표된 그레이엄 콕슨의 [Love Travels at Illegal Speeds]과 더불어 솔로로 전향한 뮤지션의 패기넘치는 파워 팝 앨범입니다.
서니 데이 서비스를 처음 만난건 제가 심적으로 굉장히 힘들때였습니다. 지금에서야 말하자면 제 잘못도 있었지만, 그땐 너무 거기에 안 맞아서 사람들에게도 모를 세웠고 일부러 단체 생활에도 빠지고 그랬습니다. (그때 그 사람들에겐 정말로 죄송하다는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그러다 일음에 빠지게 되었고, 서니 데이 서비스를 추천하는 글을 읽고 베스트 앨범을 받아서 (그땐 해외 결제 카드가 없어서...) 들었습니다.
충격이였습니다. 막 들으면서 울거나 그러진 않았지만, 상처받은 제 마음을 쓰다듬는 무심하지만 배려심 많은 멜로디와 가사에 푹 빠져버렸습니다. 아무튼 그 베스트에 실린 'Baby Blue'는 정말 힘들때 큰 힘이 되준 트랙입니다. 동시에 일음 세계에 제대로 빠지게 됬습니다.
이후 간간히 꺼내듣다가, 해외 카드가 생기면서 '일본 음반을 지르고 싶다!'라는 생각이 들었고, 그 때 처음으로 '사고 싶다!'라고 생각했던게 서니 데이 서비스와 소카베 케이이치 솔로 앨범들이였습니다. 일본 여행도 그걸 목표로 삼았고요. 뭐 거기선 소카베 케이이치 밴드만 구했으니 반절의 성공이였지만... 결국 못 참고 북오프를 두군데나 털어서 기어이 서니 데이 서비스 앨범을 구하고 말았습니다. 더 나아가 아마존 재팬도 털어서 사랑과 웃음의 밤과 세임 타이틀도 주문했습니다. 앞으로 장기적인 제 일음 목표는 '소카베 케이이치 음반 다 구하기'입니다.
サニーデイ・サービス - [東京] (1996, MIDI)
물론 이게 첫 앨범은 아닙니다. 첫 앨범은 [若者たち]인데, 플리퍼스 추종자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플리퍼스 기타에 매진하던 모습을 보였다고 합니다. 그래도 베스트에 실려있던 '若者たち' 같은 곡은 이후 서니 데이 서비스의 씨앗이 느껴집니다.
이 앨범은 두번째 앨범인데, 플리퍼스 기타의 흔적은 거의 사라져버렸고 (신시사이저 쓰는 걸 보면 느껴지긴 합니다만...) 대신 포크 록이라 해도 될 만큼 포크 중심의 음악을 들려주고 있습니다. '青春狂走曲' 같은 곡은 밥 딜런의 'Like a Rolling Stone'하고 많이 비슷합니다. 물론 핫피 엔도나 엘리펀트 카시마시 같은 일본 밴드의 영향력도 느껴지고요. 전반적인 느낌은 和풍 포크 록에 가깝습니다.
음 그런데 솔직히 음악적으로 완성된 앨범은 아닙니다. 풋풋하면서 살짝 어색한 느낌이 앨범 전체를 감싸고 있거든요. 이후 서니 데이 서비스와 소카베 케이이치가 간 길을 생각하면 이 앨범은 꽤 과도기라는 인상이 강합니다. 게다가 앨범 내내 풍기는 和풍 향기가 그런 느낌을 더욱 가속화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도 '恋におちたら', '恋色の街角' 같은 곡에선 지금과 같은 일상에서 사랑과 웃음을 이야기하는 서니 데이 서비스의 스타일이 완성된 걸 확인할 수 있는데다, 그 풋풋한 포크 록도 나름대로 맛이 있어서 쉽게 내치지 못하겠습니다.
サニーデイ・サービス - [MUGEN] (1999, MIDI)
이 사이에 앨범이 세 개나 있어서 어떤 식으로 변했는지 뭐라 단정하기 힘듭니다만, 아무튼 이 앨범은 서니 데이 서비스 음악 세계의 완성본에 가깝다해도 과언이 아닐겁니다. [東京] 시절의 풋풋함은 벗어던지고 자신만의 색을 찾았다는 느낌입니다. 작곡이라는 측면에서도, 소리를 매만지는 측면에서도 지긋한 연륜을 가지게 되었다고 할까요?
60-70년대 클래시컬한 로큰롤부터 포크 록, 어쿠스틱 기타 팝, 핫피 엔도 식 일본식 로크부터 80년대 매드체스터의 헐렁한 그루브까지 많은 요소가 담겨있지만 꽤나 순도 높게 그걸 녹여놓고 있습니다.
제가 가장 좋아하는 트랙은 '江ノ島'입니다. 무척이나 그루비하면서도 서정미가 한껏 고양되게 만드는 트랙입니다.
2000년 서니 데이 서비스가 해체 된 뒤, 유부남이 된 소카베 케이이치는 본격적으로 솔로 활동을 시작합니다. 자신의 명의로 낸 앨범도 괜찮은 평을 듣던 와중에 그는 밴드를 하나 꾸립니다. 그게 소카베 케이이치 밴드입니다.
우선 이 앨범은 서니 데이 서비스하고 좀 많이 다릅니다. 이 앨범은 굉장히 로킹한 앨범입니다. 물론 서니 데이 서비스 시절에도 간간히 로크로서 면모를 드러내기도 했지만, 이 앨범은 리미터 해제하고 마구 달립니다. 우선 기타가 두 대로 늘어 있는 힘껏 후려치고, 소카베 케이이치의 창법도 보드라움 대신 걸걸한 샤우팅으로 바뀌었습니다.
그렇지만 로킹한 부분만큼이나 낭만적인 감수성도 중시된다는 점에서 이 앨범은 블루 하츠 같은 일본 파워 팝의 계보를 잇고 있습니다. 또한 서니 데이 서비스의 영향력도 느껴지는데, '青春狂走曲' 커버에서 소카베는 그 것을 공인하고 있습니다. 위에서 적었던 도쿄 앨범에 실렸던 그 곡을 다시 커버했는데, 원곡과는 다른 후련함을 안겨주고 있습니다.
서니 데이 서비스만을 생각하면, 이 앨범은 당황스러울 것입니다. 그는 여기서 조용히 속삭이는 서정 대신 로크를 선택했거든요. 하지만 서니 데이 서비스의 감수성을 좋아하면서도 힘이 넘치는 질주감도 사랑하신다면 좋아하실겁니다. 그 해에 발표된 그레이엄 콕슨의 [Love Travels at Illegal Speeds]과 더불어 솔로로 전향한 뮤지션의 패기넘치는 파워 팝 앨범입니다.
'Headphone Music >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단리뷰> Hurts - [Happniess] (2010) (1) | 2010.11.14 |
---|---|
[PV] Oasis - Roll With It (0) | 2010.10.11 |
[Something/Anything?] / [Odessey & Oracle] (2) | 2010.10.06 |
ソリッドで浮気なYMOが韓国へきます。 (0) | 2010.10.04 |
Everything In Between 커버. (0) | 2010.09.15 |